언어 발달이 느리거나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는 자폐스펙트럼장애(ASD) 아동들에게 언어 중재는 중요한 지원 도구입니다. 부모님께서 자녀의 언어 학습을 돕기 위해 다양한 중재 방법을 이해하고 활용하시면, 자녀가 보다 원활하게 세상과 소통할 수 있도록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자녀의 언어 발달에 도움이 되는 두 가지 주요 응용행동분석(ABA) 기반 언어 중재 접근법, 구조화된 접근과 자연적인 접근을 설명드리겠습니다.

1.구조화된 접근: 체계적이고 단계적인 언어 습득 과정
ABA의 구조화된 접근은 아동이 명확한 단계에 따라 언어 기술을 체계적으로 습득할 수 있도록 돕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단순한 반복 학습을 넘어서 강화, 촉구, 모방 등의 행동 분석 기법을 통해 아동의 목표 행동을 유도하고 유지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주요 특징:
단계적 학습: 교사는 아동이 목표에 도달할 수 있도록 단계별로 학습을 진행하고, 각 단계에서 강화를 제공하여 학습 동기를 높입니다.
일반화 전략: 실생활에서 언어 기술이 잘 활용될 수 있도록 다양한 상황과 자극을 통해 학습한 언어를 일반화할 수 있게 돕습니다.
장점과 한계: 구조화된 접근은 아동이 목표 언어 기술을 빠르게 습득하는 데 유리합니다. 그러나 반복적이고 고정된 환경에서 학습한 기술이 실제 생활에서 자발적으로 사용되기 어려울 수 있어, 다양한 상황에서 일반화를 촉진하는 방법이 필요합니다.

2. 자연적인 접근: 실생활 속에서 이루어지는 언어 중재
자연적인 접근은 아동이 일상 속에서 자연스럽게 언어를 사용하도록 유도하는 ABA 방법으로, 아동이 흥미를 느끼는 활동과 상황에서 언어를 학습하게 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이 접근에서는 아동이 자발적으로 언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촉진과 강화 절차가 체계적으로 개입됩니다.
주요 특징:
아동 주도 상호작용: 아동이 주도하는 상황에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며, 교사는 이를 촉진하고 강화하여 자발적인 언어 사용을 돕습니다.
일상 환경에서의 학습: 아동의 흥미와 일상 활동을 중심으로 언어 학습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일반화가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장점과 한계: 자연적인 접근은 아동이 실생활에서 자발적으로 언어를 사용하는 데 유리하며, 일상에서 배운 언어가 자연스럽게 일반화되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목표와 단계가 명확하지 않거나, 학습 속도가 다소 느릴 수 있어, 효과적인 동기 설정과 목표 설정이 필요합니다.
두 접근법의 조화로운 활용
구조화된 접근과 자연적인 접근은 서로 보완적인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ABA 언어 중재에서는 상황에 따라 이 두 가지 방법을 유연하게 결합해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특정 기술을 빠르게 가르쳐야 할 때는 구조화된 접근을, 실생활에서의 일반화와 자발성을 높여야 할 때는 자연적인 접근을 중심으로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교실에서는 구조화된 절차를 따르되, 일상 생활 상황에서 자연스러운 언어 사용 기회를 함께 제공하여 두 접근을 조화롭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언어 중재는 자녀의 성장과 발달을 위해 매우 중요한 과정입니다. 두 가지 ABA 접근법을 적절히 조합해 자녀의 언어 발달과 의사소통 능력을 최대한 지원해 주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Brignell, A., Chenausky, K. V., Song, H., Zhu, J., Suo, C., & Morgan, A. T. (2018). Communication interventions for autism spectrum disorder in minimally verbal children.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11).
Kim, H. (2012). 언어장애와 의사소통장애: 학령기 아동 가르치기. 시그마프레스. Miranda-Linne, F., & Melin, L. (1992). Acquisition, generalization, and spontaneous use of color adjectives: A comparison of incidental teaching and traditional discrete-trial procedures for children with autism. Research in developmental disabilities, 13(3), 191-210.
Olswang, L. B., & Bain, B. A. (1991). Language intervention for children: Practical strategies and theore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34(2), 419-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