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폐스펙트럼장애(ASD) 치료를 위한 새로운 길: 멜로디 억양기법(MIT)

Total
0
Shares

자녀의 성장 과정에서 언어와 의사소통 능력은 가장 중요한 부분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자폐스펙트럼장애(ASD)를 가진 아이들에게는 이러한 영역이 큰 도전 과제가 될 수 있습니다. 아이가 원하는 것을 표현하지 못하거나, 타인과의 대화를 시작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모습을 보면 부모로서 안타까운 마음이 들 수밖에 없습니다.

다행히도, 최근 연구들은 ASD 아동의 자발적 의사소통을 촉진하기 위해 다양한 치료 방법을 제안하고 있습니다. 그중 하나가 멜로디 억양기법(Melodic Intonation Therapy, MIT)입니다.

멜로디 억양기법(MIT)이란 무엇인가요?

MIT는 주로 실어증(Aphasia) 환자의 언어재활을 돕기 위해 개발된 치료기법으로 음악의 멜로디와 리듬을 활용하여 언어적 자극을 노래하듯 전달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강약을 조절하고 높낮이와 길이에 변화를 주는 등 멜로디와 리듬이 적용된 언어적 자극을 단계적으로 전달하면서 이를 따라 말하도록 유도합니다. 이 치료법은 ASD 아동이 보이는 무발화나 언어적 시도 부족을 극복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방법으로 연구되기 시작하였으며 일반적인 언어 치료와 달리, 음악적 요소를 가미하여 아이의 흥미를 끌고 동기를 부여한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가집니다.

수정된 MIT의 효과: 연구를 통해 본 가능성

최근 연구에서는 수정된 멜로디 억양기법(Adapted MIT)을 사용하여 ASD 아동의 자발적 언어 발달을 조사하였습니다. 이 방법은 기존의 MIT가 가진 복잡한 절차를 간소화하여 아이들의 집중력을 유지하고 자발적 발화를 더욱 자연스럽게 유도하는 데 초점을 맞췄습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MIT는 언어모방훈련(Language Imitation Training)보다 더 빠르게 자발적 언어 시도(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의 자발적 의사소통)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주요 연구 결과:

  • 자발적 언어 시도 증가: 음악적 요소가 아이의 흥미를 끌어내어 지속적인 동기를 제공했습니다.
  • 언어 완성도 향상: 단순히 발화 시도 횟수만 증가한 것이 아니라, 발화의 정확성과 완성도도 개선되었습니다.
  • 짧은 시간 내 효과: 기존의 언어모방훈련보다 빠르게 성과가 나타났습니다.

수정된 MIT를 활용한 중재의 장점

수정된 MIT는 다음과 같은 면에서 ASD 아동과 부모님들에게 유익할 수 있습니다.

  • 흥미 유발: 아이가 음악과 리듬에 반응하며 자연스럽게 언어적 시도를 할 수 있도록 유도합니다.
  • 개인 맞춤형 접근: 아동의 발달 단계와 관심에 맞춰 절차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 효율성: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 안에 유의미한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습니다.

부모님이 알아야 할 사항

수정된 MIT는 ASD 아동의 의사소통 발달을 지원하는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로 제시되고 있지만, 몇 가지 고려해야 할 점도 있습니다.

  • 개별화된 접근 필요: 음악적 요소가 가미되었다고 해서 모든 아이에게 동기부여가 되는 것은 아니며, 아이들이 모두 같은 방식으로 반응하지도 않습니다. 따라서 우선 자녀에게 맞는 방법인지를 고려하고 발달단계에 맞게 조정하여 적용해야 합니다.
  • 일관된 적용: 치료사가 사용한 방법을 가정에서도 일관되게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장기적 관점: 초기 효과가 나타나더라도 지속적인 지원과 관찰이 필요합니다.

함께 만들어가는 희망의 여정

수정된 MIT는 ASD 아동의 의사소통 능력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하나의 도구입니다. 물론 모든 아이에게 동일한 효과를 보장할 수는 없지만, 아이의 흥미를 이끌어내고 자발적 발화를 촉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부모님의 따뜻한 관심과 전문가의 협력을 통해 아이의 언어 발달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을 것입니다. 수정된 MIT와 같은 치료법은 아이가 보다 풍부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돕는 첫걸음이 될 것입니다.

언제나 아이의 가능성을 믿고 함께 걸어가길 응원합니다.

참고문헌

박예리, 이성봉 (2018). 수정된 멜로디 억양기법이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자발화에 미치는 효과. 발달장애연구, 22(2), 67-92.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You May Also Like

사회적 상황 이야기(Social Stories™)란?

자폐스펙트럼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ASD)는 사회적 상호작용 및 의사소통, 행동 기능에 어려움을 보이는 것이 특징입니다. 특히, 사회인지(Social Cognition), 즉 자신과 타인을 이해하고, 사회적 지식을 습득하고 활용하는 과정에서 결함이 나타납니다. 사회적 상황…
View P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