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폐스펙트럼장애(ASD) 아동을 위한 촉구의 적용: 독립성을 향한 단계적 지원 (1편)

Total
0
Shares

촉구란 무엇인가?

자폐스펙트럼장애(ASD)를 가진 아이들은 새로운 기술을 배우거나 사회적 행동을 익힐 때 어려움을 겪을 수 있어요. 하지만 적절한 지원을 받으면 아이들은 점점 더 독립적으로 행동할 수 있어요!
이때 활용할 수 있는 전략 중 하나가 촉구(prompt) 입니다.
촉구는 아이가 원하는 행동을 쉽게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추가적인 도움이에요. 마치 아이가 자전거를 배울 때 처음에는 뒤에서 밀어주다가, 점점 스스로 페달을 밟을 수 있도록 돕는 것과 같아요.

촉구의 목적: 독립적인 행동 유도
촉구의 목표는 아이가 최종적으로 도움 없이 행동할 수 있도록 돕는 것입니다.
그래서 처음에는 강한 도움을 주다가, 점점 줄여가는 것이 중요해요.
이를 촉구의 위계(prompt hierarchy)라고 하는데요, 최소한의 개입으로 최대한의 독립성을 유도하는 것이 핵심이에요!

1. 최소 침습적 촉구 (Least Intrusive Prompts) → 아이의 자율성을 최대한 보장하는 방법

가능한 한 자연스럽게, 아이가 스스로 행동할 수 있도록 돕는 방법이에요.
이 단계에서는 환경적인 단서나 간접적인 방법을 활용해요.

자연적 단서 (Natural Cue)
아이가 외부 도움 없이 환경적 단서만으로 행동을 수행할 때

🟢 예:
신발장이 보이면 스스로 신발을 신는 경우
손이 더러워졌을 때 스스로 씻으러 가는 경우
시각적 촉구 (Visual Prompt)
그림, 사진, 글자 등 시각 자료를 활용해서 행동을 유도하는 방법

🟢 예:
손 씻는 순서 그림을 보여주기 (비누 → 문지르기 → 헹구기)
양치하는 과정을 카드에 그려서 제공하기
제스처 촉구 (Gestural Prompt)
손짓이나 몸짓을 이용해 아이가 올바른 행동을 수행하도록 유도하는 방법

🟢 예:
아이가 신발을 신어야 할 때 신발을 손으로 가리키기
아이가 친구에게 인사하도록 손을 흔드는 동작 보여주기
실생활 예시: 아이가 자립적으로 손 씻기를 배우는 과정

① 자연적 단서: 손이 더러워졌을 때 스스로 씻으려는 행동이 나타남
② 시각적 촉구: 손 씻는 순서를 그림으로 제공
③ 제스처 촉구: 비누를 가리켜 아이가 스스로 사용할 수 있도록 유도

중요한 점!
최소한의 도움으로 아이가 스스로 행동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중요해요!
아이가 혼자 할 수 있는 행동이 늘어나도록 점진적으로 촉구를 줄여가는 것이 핵심이에요.
이제 좀 더 많은 도움이 필요한 경우(중간~최대 침습적 촉구)에 대해서는 2편에서 다뤄볼게요!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You May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