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부모님들께서 아이가 보이는 반복적인 행동이나 특정한 집착에 대해 걱정하시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행동이 단순한 습관인지, 아니면 더 깊은 문제의 일부인지 고민되실 텐데요. 오늘은 자폐스펙트럼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ASD) 아동들에게서 나타날 수 있는 강박장애(Obsessive-Compulsive Disorder, OCD)에 대해 이야기해 보려고 합니다.
강박장애는 원치 않는 강박적 사고와 행동을 반복하는 심리적 장애로, ASD 아동들에게도 빈번히 동반됩니다. 강박장애는 ASD 아동에게 심리적 고통과 기능적 장애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이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적절한 중재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본 글에서는 강박장애의 정의, 진단 기준, ASD 아동에서의 발현 양상, 구체적인 중재 전략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고자 합니다. 아이를 더 잘 이해하고, 어려움을 함께 극복하는 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강박장애란 무엇인가요?
DSM-5-TR(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 2022)에서는 강박장애를 머릿속에 떠오르는 원치 않는 생각(강박사고)과 그것을 없애려는 반복적인 행동(강박행동)으로 인해 불편함을 겪는 것으로 정의합니다. 강박사고는 침투적이어서 반복적이고 지속적으로 원치 않는 생각, 충동, 이미지가 떠오르는 것을 경험하게 되는데, 이는 대개 심각한 불안과 고통을 유발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사고나 충동을 무시하거나 억제하려는 시도를 하게 되는데 이때 종종 다른 행동이나 사고를 통해 이를 중화하려 합니다.
반복적인 강박행동은 강박사고로 인한 불안을 완화하기 위해 자신만의 규칙에 따라 특정 외적 행동(예: 손 씻기, 확인하기) 또는 내적 행동(예: 숫자 세기, 주문 외우기)을 반복하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행동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손을 자주 씻지 않으면 불안해하며 하루에도 여러 번 손을 씻는 모습.
✔ 전기 스위치나 문이 제대로 닫혔는지 반복적으로 확인하며 불안감을 느끼는 모습.
✔ 물건이 특정한 방식으로 정리되지 않으면 불안을 느끼거나 화를 내는 모습.
이런 행동은 처음에는 단순한 습관처럼 보일 수 있지만, 강박사고나 행동이 하루 한 시간 이상을 차지하거나, 임상적으로 심각한 고통을 유발하며 개인의 학업, 사회적, 직업적 기능을 방해한다면 강박장애를 의심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이때 증상은 다른 의학적 질환이나 약물로 인한 것이 아니어야 하며, 다른 정신질환의 특징으로 설명되지 않아야 합니다.
자폐스펙트럼장애와 강박장애
자폐스펙트럼장애를 가진 아이들에게서도 강박적인 행동이 자주 나타납니다. ASD 아동의 강박적 행동은 반복적이고 의례적인 특성을 가지며, 일반적인 강박장애와의 차이가 존재합니다. 반복적 행동과 의례적 특성은 ASD의 주요 특성 중 하나로, 고정된 관심사를 중심으로 특정 행동을 지속하는 경향을 말합니다.
이는 종종 다음과 같은 양상으로 나타납니다.
✔ 외현적 강박행동: 씻기, 정리정돈, 확인, 특정 물건의 수집 등.
✔ 내현적 강박행동: 마음속에서 숫자 세기, 특정 문장을 반복하는 등의 심리적 의례.
특히 ASD 아동의 강박적 행동은 반복성, 의례적 성격, 고정된 관심사를 중심으로 발현되며, 다음과 같은 특정 유형으로 분류됩니다.
✔ 오염, 청결과 관련된 집착: 손을 씻거나 집을 청소하는 데 너무 많은 시간을 씁니다.
✔ 정리와 배열: 물건이 특정 위치나 방향으로 정리되지 않으면 불안감을 느낍니다.
✔ 확인 행동: 전기 스위치, 문 잠금장치, 스케줄 등을 계속 확인하며 안심하려고 합니다.
✔ 물건 수집과 저장: 필요하지 않은 물건을 지나치게 모으고 버리지 못합니다.
이러한 행동은 아이의 불안이나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한 시도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행동이 단순한 습관인지, 아니면 추가적인 지원이 필요한 강박적인 행동인지 신중하게 평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적절한 중재를 통해 아이가 불안을 건강한 방식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필요합니다.
참고문헌
유성진 (2017). 저장장애. 서울: 학지사이용승, 이한주 (2016). 강박장애. 서울: 학지사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22).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5th ed., text rev.).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
Arildskov, T. W., Hojgaard, D. R. M. A., Skarphedinsson, G., Thomsen, P. H., Ivarsson, T., Weidle, B., Melin, K. H., & Hybel, K. A.(2016). Subclinical autism spectrum symptoms in pediatric obsessive-compulsive disorders. European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25, 711-723.
Lehmkuhl, H. D., Storch, E. A., Bofish, J. W., & Geffken, G. R.(2008). Brief report: Exposure and response prevention for obsessive compulsive disorders in a 12-year-old with autism. Journal of Autism Development Disorders. 38, 977-981.
Ruzzano, L., Borsboom, D., Geurts, H. M.(2015). Repetitive behaviors in autism and obsessive- compulsive disorders: New perspectives from a network analysis. Journal of Autism Development Disorders. 45, 192-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