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폐스펙트럼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ASD)는 사회적 상호작용 및 의사소통, 행동 기능에 어려움을 보이는 것이 특징입니다. 특히, 사회인지(Social Cognition), 즉 자신과 타인을 이해하고, 사회적 지식을 습득하고 활용하는 과정에서 결함이 나타납니다.
사회적 상황 이야기(Social Stories™)는 이러한 핵심 결함을 중재하기 위한 대표적인 전략 중 하나로, 1993년 전직 교사이자 교육 컨설턴트인 Carol Gray가 개발하였습니다. 이 접근법은 자폐 아동이 사회적 정보를 보다 직접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개별화된 이야기로, 아이의 사회적 이해를 촉진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Gray & Garand, 1993).
사회적 상황 이야기의 이론적 배경
사회적 상황 이야기는 다음과 같은 이론을 기반으로 합니다.
1. 생각의 원리(Theory of Mind)
자신과 타인의 생각과 감정을 이해하고, 다른 사람과 관점이 다를 수 있음을 아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 대부분의 사람에게는 자연스럽게 익혀지는 능력이지만, ASD 아동은 이를 습득하는 데 어려움을 겪습니다.
- 사회적 상황 이야기는 비언어적 사회적 단서(표정, 몸짓 등)를 명확한 정보로 변환하여 전달함으로써 ASD 아동의 사회적 이해를 돕습니다(Gray, 1998).
2. 중앙응집력 이론(Weak Central Coherence)
ASD 아동은 정보를 전체적으로 파악하기보다 세부적인 요소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습니다(Frith, 1989; Happe, 1999).
- 이로 인해 사회적 맥락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 사회적 상황 이야기는 명확한 구조와 규칙을 제공하여, 자폐 아동이 사회적 지식을 보다 효과적으로 습득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사회적 상황 이야기의 특징
- 사용자의 관점에서 작성 – ASD 아동이 특정 사회적 상황을 어떻게 경험하고 해석할지를 고려하여 이야기 구성
- 시각적 단서 제공 – 그림, 사진 등을 활용하면 효과 증가
- 단순하고 예측 가능한 형식 – 간결한 언어와 반복적인 구조로 구성
- 영구적 기록 및 검토 가능 – 언제든지 다시 읽고 복습 가능
- 가족 참여의 중요성 – 아동의 일상생활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실제 경험과 연결되도록 도움
- 맞춤형 이야기 제작 – 아동을 잘 아는 부모, 교사, 치료사 등이 아동의 행동을 관찰하고 정보를 수집하여 아동의 개별적인 특성과 필요를 고려하여 맞춤형 제작
사회적 상황 이야기 문장 유형
- 설명문 (Descriptive Sentences) – 특정 상황, 사람, 활동, 기분, 개념 등의 측면을 객관적이고 사실적으로 묘사하는 문장으로 주관적인 감정이나 논박 없이 정보를 제공함.
- 조망문 (Perspective Sentences) – 특정 상황에서 다른 사람의 감정, 생각, 반응을 설명하는 문장으로 타인의 기대, 신념, 의견, 동기 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줌.
- 지시문 (Directive Sentences) – 아동이 적절한 반응이나 행동을 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문장으로, 아동이 따라야 할 행동을 직접 제시하는 사용자 지시문 (Affirmative Sentences)과 아동이 스스로 행동을 유도하는 자기 지시문 (Self-Instruction Sentences)이 포함됨
- 긍정문 (Affirmative Sentences) – 특정 행동을 강조하고 이를 사회적 가치와 연결하는 문장으로 보편적인 가치를 표현하거나 행동을 강화하는 역할을 함.
사회적 상황 이야기의 활용
사회적 상황 이야기는 ASD 아동이 사회적 규칙과 기대를 보다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적용 가능한 영역
- 문제행동 감소
- 적절한 행동 촉진
- 일과 수립 및 익숙함 제공
- 사회적 기술 향상
- 의사소통 능력 증진
연구에 따르면, 사회적 기술을 직접 가르치는 것보다 문제 행동 감소를 목표로 활용할 때 더욱 효과적이라는 결과가 보고되었습니다(Kokina & Kern, 2010). 이는 ASD 아동이 사회적 규칙을 이해하는 것이 문제행동을 줄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시사합니다.
효과적인 사회적 상황 이야기 작성 방법
- 아동의 행동을 면밀히 관찰하고, 사회적 어려움을 파악
- 명확하고 간결한 언어로 서술
- 이야기 속 주인공이 긍정적인 해결책을 찾는 방식으로 구성
- 시각적 자료(그림, 사진)와 함께 제공
- 반복적으로 읽으며 자연스럽게 습득하도록 유도
사회적 상황 이야기의 중요성
사회적 상황 이야기는 ASD 아동이 사회적 규칙과 기대를 보다 쉽게 이해하도록 돕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이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면 아동이 사회적 관계를 원활하게 형성하고, 환경에 적응하는 능력을 키울 수 있습니다.
부모와 치료사는 아이의 필요에 맞는 사회적 상황 이야기를 개발하고 반복적으로 활용하여 실생활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유도할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Frith, U. (1989). Autism: Explaining the enigma. Oxford, UK: Blackwell.
Gray, C. (1998). Social StoriesTM and comic strip conversations with students with Asperger syndrome and high-functioning autism. In E. Schopler (Ed.), Asperger syndrome or high functioning autism? (pp. 167-194). New York, NY: Plenum Press.
Gray, C., & Garand, J. D. (1993). Social Stories1’1: Improving responses of students with autism with accurate social information. Focus on Autistic Behavior, 8(1), 1-10
Happe, F. (1999). Autism: Cognitive deficit or cognitive style? Metaphor and Symbolic Activity, 10, 275-295.
Kokina, A., & Kern, L. (2010). Social Story1M interventions for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40, 812-826.
Prelock, P. A., McCauley, R. J., Fey, M. E., & Kamhi, A. (2017). 자폐 범주성 장애 [Treatment of autism spectrum disorders: Evidence-based intervention strategies for communication and social interactions] (이소현, 박혜진, 윤선아, 역). 서울, 학지사. (원저 출판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