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동 문제를 중재하거나 학교에서 긍정적 행동 지원(PBS, Positive Behavior Support)을 실행할 때 가장 기본이 되는 원칙 중 하나가 ‘기능 기반 중재(Functional-Based Intervention)’입니다. 오늘은 기능 기반 중재의 중요성과 적용 방법에 대해 이야기해 보려고 합니다.
행동의 기능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한 이유
부모님들께서 종종 겪는 난감한 상황 중 하나가 아이가 변기에 장난감이나 휴대폰을 넣는 행동입니다. 이런 경우 많은 부모님들이 “왜 이런 행동을 할까?” 고민하며 야단을 치거나 행동을 제지하는 방법을 사용합니다. 하지만 단순한 제지는 일시적인 효과만 있을 뿐, 아이가 다시 같은 행동을 반복하거나 다른 형태의 문제행동으로 바뀌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처럼 문제 행동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왜 이런 행동을 하는가?’를 먼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아이가 변기에 장난감을 넣는 이유가 다음과 같을 수 있습니다.
- 감각적 만족(Sensory Stimulation): 물건이 변기 물에 떠내려가는 모습을 즐기는 경우.
- 관심 유도(Attention-Seeking): 변기에 장난감을 넣으면 부모나 선생님의 반응을 얻을 수 있는 경우.
- 회피(Escape/Avoidance): 하기 싫은 공부나 과제를 피하기 위한 행동인 경우.
이처럼 같은 행동이라도 그 기능(원인)이 다를 수 있으며, 원인을 정확히 이해해야 효과적인 중재가 가능합니다.
기능 기반 중재의 개념
응용행동분석(ABA)에서는 행동의 기능을 일반적으로 다음 네 가지로 분류합니다.
- 관심(Attention-Seeking): 타인의 반응이나 관심을 얻기 위해 행동함.
- 획득(Tangible-Seeking): 원하는 물건이나 활동을 얻기 위해 행동함.
- 회피(Escape/Avoidance): 싫어하는 상황이나 활동을 피하기 위해 행동함.
- 감각적 자극(Sensory Stimulation): 특정 감각적 만족을 얻기 위해 행동함.
(참고로, 최근에는 신체적 문제, 강박 및 불안과 같은 요인도 행동의 기능으로 고려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같은 ‘자리 이탈’ 행동이라도 기능 평가를 해보면 다음과 같이 다양한 이유가 있을 수 있습니다.
- 수업을 피하기 위한 자리 이탈(회피 기능)
- 교사의 관심을 끌기 위한 자리 이탈(관심 기능)
- 원하는 장난감을 얻기 위한 자리 이탈(획득 기능)
- 움직이면서 감각적 자극을 경험하기 위한 자리 이탈(감각 기능)
이러한 행동의 기능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기능행동평가(FBA, Functional Behavior Assessment)가 필요합니다. FBA는 행동의 원인을 분석하는 과정으로, 간접 평가(설문, 면담), 직접 관찰(ABC 기록), 실험 분석 등을 포함합니다.
기능 기반 중재의 연구적 배경
기능 기반 중재는 1982년 Iwata와 동료들의 연구(Toward a Functional Analysis of Self-Injury)에서 처음 중요성이 부각되었습니다. 연구에서 같은 형태의 자해 행동이라도 각기 다른 기능을 가질 수 있다는 점을 발견했고, 이후 기능 분석이 문제 행동 중재의 핵심 요소로 자리 잡았습니다. 현재도 다양한 교육 및 치료 환경에서 기능 기반 중재가 효과적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기능 평가 사례 (ABC 기록 분석)
선행사건 (A) | 행동 (B) | 후속결과 (C) |
화장실에 혼자 있음 | 변기에 장난감/휴대폰을 넣고 물을 내림 | 물이 빠지는 장면을 관찰하고 감각적 만족을 느낌 |
손으로 물건을 조작하는 감각이 필요함 | 반복적으로 변기에 물건을 넣음 | 물의 흐름을 보고 만족함 |
감각적 자극이 부족함 | 변기에 다양한 물건을 넣음 | 시각적, 청각적 자극을 경험 |
위 사례를 보면, 해당 행동은 감각적 자극(Sensory Stimulation)에 의해 유지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적절한 대체 활동을 제공하는 것이 효과적인 중재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기능 기반 중재 전략
✅ 대체 감각 활동 제공 → 투명한 물통에 물건을 넣고 빼는 놀이, 물레방아 장난감 활용.
✅ 감각적 만족을 줄 수 있는 활동 추가 → 변기 사용 후 물놀이 시간을 제공하여 대체 만족 제공.
✅ 규칙 시각화 → 변기 앞에 시각적 규칙(예: “변기에는 물건을 넣지 않아요!”)을 제시.
이처럼 행동의 기능을 이해하고 이에 맞는 개입을 하면 문제행동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습니다. 단순히 행동을 억제하는 것이 아니라, 행동의 원인을 해결하는 것이 기능 기반 중재의 핵심입니다.
앞으로도 아이들의 행동을 바라볼 때, 표면적인 행동뿐만 아니라 그 **행동이 왜 발생하는지(기능)**에 초점을 맞추어 접근해 보시면 좋겠습니다. 😊